테크 테크/데이터 2020. 5. 7. [데이터기초] 기술통계 그리고 추리통계 기술통계란? (Descriptive Statistics)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서 데이터 대상등의 속성을 파악하여 분석하는 통계적 방법을 의미합니다. 조사 대상(모집단)의 특성을 알기위해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표본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도수분포표나 표본 통계값을 계산하여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를 기술 통계량이라고 합니다. 기술통계량은 표본자료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 요약정보의 활용효과를 높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요. 가장 기본적인 가설겅정부터 고급 통계분석에 필요한 기초 정보가 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이기도 합니다. 이런 기술통계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데이터분석 등의 기초통계분석을 이용합니다. 대표적인 기술통계분석은 평균.. 테크/인사이트 2017. 11. 6. 아프리카 케냐의 엠페사(M-PESA)와 핀테크 대한민국에 사는 우리들은 은행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어본 적 없을 것이다. 도시에서는 상가마다 들어서 있는 각기 다른 은행과 ATM이 너무 당연한 사회가 되었고 농촌과 어촌에서도 도시보다는 열악하지만 해당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농협과 수협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전 세계인구가 약 60억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어느 정도의 인구수가 은행과 금융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일까? 2015년 추산 약 25억명의 사람들이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다고 추산하고 있다. 그들은 은행이 지점을 내기 꺼려하는 곳에 살고 있기 때문에 세계 경제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상태다. 하지만 21세기들어서면서 인터넷이 발달하고 휴대전화가 보급되자 이렇게 은행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 테크/인사이트 2017. 10. 26. 고빈도 거래(HFT, High Frequency Trading)의 주요 쟁점사항 정리 HFT의 주요 쟁점사항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FT가 도입된 해외시장에서는 HF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는 아직까지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미국의 사례만을 보더라도 Flash Crash 같은 일련의 사건을 통해 HFT가 시장에 주는 충격을 연구하고 또 관련 법규를 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례들을 통해 HFT가 과연 한국시장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국내시장에서 HFT가 시장에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걸음마 단계다. HFT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HFT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HFT에 부정적인 입장에서는 시장에 대한 충격이 크기 때.. 테크/인사이트 2017. 10. 25. 0.0001초의 약탈자 플래시 보이즈 - HFT 고빈도거래를 이용한 증권매매-(1) 플래시 보이즈 한국어판 플래시보이즈 – HFT를 고발하다 플래시보이즈는 RBC 등 뉴욕 증권가에서 일하던 브로커들과 엔지니어들이 시장의 이상징후를 통해 HFT 회사들의 전략을 눈치챈 후 각자 다니던 회사를 그만 두고 기존 증권거래소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증권거래소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이 거래소가 IEX이다. IEX는 HFT가 금융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해서 이득을 취하며, 거래의 공정성을 해친다고 주장해왔다. HFT 회사들은 수천억 달러를 들여 증권거래소의 서버와 연결된 전용 광케이블선을 깔거나 전자파 통신채널을 설치해 속도경쟁에서 크게 우위를 차지하며 어마어마한 이득을 누리고 있다. 심지어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등과 계약을 맺고 거래소 안에 컴퓨터 서버를 두고 가격.. 이전 1 다음